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나무 전지 시기 및 방법

by 가드너.A 2023. 6. 1.
반응형

소나무 전지 시기 및 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일뿐만 아니라 외국인들도 한국의 소나무를 보고 가장 아름다운 나무라고 칭찬하기도 합니다.

조경수로 많이 쓰이는 소나무는 수형을 잡아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깔끔하게 정리를 해주어야 훨씬 멋있습니다. 따라서 소나무 전지 시기와 방법이 매우 중요한데 그에 대해 자세하게 서술하기 앞서 소나무에 대해서 기본적인 소나무의 장점과 단점, 소나무의 주요 사용처 등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소나무 전지 시기 및 방법

1. 소나무에 대한 설명

 - 구과목 소나무과에 속하는 나무이며, 아시아 북미 유럽 등 북반구 전역에 걸쳐 자생하는 대표적인 침엽수입니다. 러시아에서는 희귀식물로 취급 받아서 보호종이 되었습니다.

1.1. 현존 가장 오래된 나무는 소나무과

 - 미국 캘리포니아주 동쪽 끝에 있는 화이트 마운틴 산맥 해발 3천 미터가 넘는 비도 거의 오지 않고 매서운 바람이 몰아치는 곳에 소나무과인 브리슬콘 파인들이 사는데, 이중에는 수령이 4천 년 넘은 개체들이 있다. 제일 오래된 나무는 4700살 정도 된다고 하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식물입니다.

1.2. 순수 한국어로는 솔이라 불림

 - 솔방울, 솔잎에서도 알 수 있듯이 순수 한국어로는 솔이라 불리었습니다. 또 솔나무, 소오리나무라고도 합니다. 솔나무라고 불리던 것이 'ㄹ 탈락'이 되어 소나무라고 불리는 것입니다.

2. 소나무의 좋은 점

 - 소나무의 장점으로는 조경수로도 좋지만, 약재로도 쓰인다는 점입니다. 또한 목재는 질이 좋아서 건축용으로 아주 많이 쓰입니다.

2.1. 약재로 쓰이는 소나무

 - 한방에서 잎은 각기병 또는 소화불량 약 그리고 강장제로 쓰이며, 송화는 이질에 쓰이고, 송진은 고약의 원료 등에 쓰입니다.

2.2. 목재로 쓰이는 소나무

 - 한국의 목건축은 무조건 소나무라는 인식이 강합니다. 워낙 재질이 좋아 오랜 세월 동안 많이 이용되었는데, 기둥, 서까래, 대들보 등의 건축 자재로 많이 쓰였습니다.

 - 경상북도 북부의 춘양목과 강원도 태백산맥에서 나는 중곰솔은 재질이 우수하기로 유명합니다.

2.3. 송진과 소나무 뿌리

 - 송진 추출물은 페인트와 니스용재 그리고 의약품 또는 화학약품으로 쓰이며, 소나무 뿌리는 송근유라 하여 석유 대용으로 쓰이기도 하였습니다. 송근유로는 가솔린 대용을 만들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3. 소나무의 단점

 - 송진 특성상 불이 매우 잘 붙고 검은 매연이 생긴다

3.1 소나무 숲에 산불이 나면 쉽게 끄기 힘들다

 - 송진도 그러하지만 솔방울 또한 불이 매우 잘 붙고 불똥이 잘 튀어서 산불 발생 시 크게 번지고 진화가 힘들어 대형산불로 번지기 쉽습니다.

3.2. 재선충

 - 소나무의 가장 큰 적은 소나무재선충으로 소나무에 서식하는 선충이다. 이 실모양의 기생충이 나무의 수관을 막아 붉게 낙엽이 지듯이 고사하게 하는데, 눈에 띄지 않아 방재가 힘들다

 - 자체적으로 이동할 능력이 없지만, 북방수염하늘소나 솔수염하늘소에 들러붙어 이동하여 번진다. 또한 오염된 나무를 이동시킴으로써 번지는 경우가 있어 소나무는 반출금지이며 이동이 금지되어 있다

아파트 소나무

4. 소나무 전지 시기와 전지 방법

 - 소나무를 전지 하는 이유는 수형관리와 병해충 예방 그리고 미관향상을 위해서입니다. 또 소나무의 뿌리와 잎에서 타감작용을 일으키는 갈로탄닌이라는 천연 제초게를 분비하는 특성 때문에 주변의 식물들을 위해서 정리해 주기도 합니다.

4.1. 소나무 전지 시기로 가장 좋은 달은 5월과 6월

 - 일반적으로 소나무는 이른 봄인 휴면기에 실시합니다. 하지만, 수종이나 목적에 따라 여름이나 가을에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봄에는 생장기로 접어들어 생장이 최대인 때이므로 굵은 가지의 전정은 피하고 수형을 고르게 전정해 줍니다. 또한 5~6월은 순치기의 시기인데요, 봄에 소나무 가지 끝에 촛대 모양으로 자라 올라온 새순을 잘라주는 작업입니다.

소나무 순을 잘라주는 이유는 가지의 고른 세력 균형과 수관 내부에 햇볕이 잘 들게 하기 위함입니다. 여기서 고른 세력 균형이라 함은 바깥쪽으로 자라는 것을 억제하고 수관의 안쪽 성장을 도모하는 것입니다.

 - 여름에는 병충해 예방을 위해서도 통풍을 좋게 해주어야 하고 일조량도 곳곳에 풍부해야 하므로 전정을 과감하게 해 줍니다.

 - 가을에는 수형을 잡아가면서 병충해 가지 또는 고사된 가지 위주로 제거해 준다는 느낌의 전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 겨울에는 소나무의 생육이 멈추는 시기이므로 강전정을 해주어도 무방합니다. 이때는 수형 위주로 주안점을 주시면 되겠습니다.

4.2. 소나무 전지 방법은 기본부터 충실하게

 - 큰 가지부터 작은 가지로, 나무의 위에서부터 아래로, 나무의 바깥에서부터 안으로 전지를 실시해 줍니다.

 - 고사한 가지, 얽힌 가지, 통풍에 방해가 되는 가지, 너무 삐쭉하게 나온 가지, 뿌리에서 나오는 가지를 전정해 줍니다.

반응형